전이보 TG보 Transfer Beam

2024. 11. 15. 21:35Study

전이보(Transfer Beam)란?


전이보는 건축 구조물에서 상부의 기둥이나 벽체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입니다. 주로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의 기둥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때 하중을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 주요 용도:
• 건물 하부에 **기둥 배치가 제한되는 공간(주차장, 로비 등)**이 있을 때.
• 상부 기둥 하중을 넓게 분산시키기 위해.
• 구조적 안정성과 디자인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초보 건축기사가 알아야 할 실무 시공 팁


1. 설계도 확인
• 전이보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히 이해하고, 설계도서의 하중 계산 및 철근 배근을 꼼꼼히 검토.
• 설계 변경 사항이 없는지 확인.

2. 거푸집 시공
• 전이보는 크기가 크고 하중이 커서 거푸집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음.
• **지지대(동바리)**와 거푸집 고정이 충분히 안정적인지 확인.

3. 철근 배근
• 전이보는 큰 하중을 받으므로 철근의 배근이 설계 기준에 정확히 맞아야 함.
• 이음 길이, 피복 두께, 띠철근 간격 등을 꼼꼼히 점검.
• **스페이서(간격재)**로 철근 간격을 유지하고, 처짐을 방지.

4. 콘크리트 타설
• 콘크리트의 강도가 매우 중요함. 강도와 배합 비율을 정확히 맞춤.
• 진동기를 사용해 충분히 다짐하여 내부 공극(빈 공간)을 제거.
• 타설 후 양생을 충분히 해야 강도 발현이 가능.

5. 전단 보강
• 전이보는 전단력이 클 수 있으므로 **스터럽(전단 보강 철근)**이 설계에 맞게 배근되었는지 확인.


감리 검측 시 유의사항


1. 배근 상태 확인
• 설계도에 따라 철근 간격, 이음 길이, 정착 길이 등을 세부적으로 검측.
• 특히 전이보 하단의 주요 철근 배치와 상단의 부력 철근 배치가 정확한지 확인.

2. 거푸집 및 동바리 점검
• 거푸집의 처짐이나 흔들림이 없는지 확인.
• 동바리 지지 상태가 전이보의 중량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지 체크.

3. 콘크리트 품질 검사
• 슬럼프 테스트로 작업성 확인.
•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후 강도를 확인.

4. 시공 오차 관리
• 전이보의 폭, 높이, 위치가 설계값과 일치하는지 체크.
• 철근 피복 두께 및 간격 오차를 측정.

5. 안전 관리
• 전이보는 큰 하중을 지탱하므로 타설 중 붕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점검 필수.
• 작업자 간 협업과 소통 상태 확인.

쉽게 요약


• 전이보는 기둥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하부로 전달하기 위한 보.
• 실무 시 주의점: 설계도 확인 → 철근 배근 → 거푸집/동바리 안정 → 콘크리트 품질 → 충분한 양생.
• 감리 검측 포인트: 철근 배치, 동바리 안정성, 콘크리트 강도, 시공 오차 최소화, 안전 관리.

초보라면 설계도와 시방서를 꼼꼼히 읽고, 선배나 감리의 지적 사항을 적극적으로 메모하고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 이미지에서:

1. 평면도:
• 도면에 전이보(Transfer Beam)의 위치가 기둥과 연관된 형태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 전이보는 다른 보와 구별되도록 굵은 라인이나 강조된 색상으로 표시됩니다.

2. 전이보 일람표:
• 도면 옆에 포함된 일람표는 각 전이보의 크기(폭, 높이)와 주요 철근(상단, 하단 주근), 그리고 전단 보강 철근(스터럽) 간격 등의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3. 철근 상세도:
• 철근 배근 다이어그램에서 주근(상단과 하단)과 스터럽(띠철근)의 간격과 위치가 명확히 나타납니다.
• 철근은 보의 양 끝에서 정착되는 방식과 스팬 중앙의 보강 방식도 표시됩니다.

도면을 참고하여 전이보 위치와 철근 배치를 실제 시공 시 정확히 구현해야 합니다.





전이보(Transfer Beam)는 건축 구조에서 상부 하중을 하부로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부재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평면도, 전이보 일람표, 철근 상세도의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1. 평면도 예시

평면도는 건물의 각 층을 수평으로 잘라본 도면으로, 전이보의 위치와 주변 구조물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전이보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전이보는 상부 기둥이나 벽체의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전이보 일람표 예시

전이보 일람표는 각 전이보의 상세 정보를 표로 정리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전이보의 단면 크기, 철근 배근 방식, 스터럽 간격 등이 포함됩니다.

전이보 번호 단면 크기 (mm) 상부 주근 하부 주근 스터럽 간격 (mm)
TB-1 600 x 1200 6-D25 6-D25 D10 @ 150
TB-2 700 x 1300 8-D25 8-D25 D10 @ 150

위 표는 전이보의 번호별로 단면 크기와 철근 배근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TB-1 전이보는 단면 크기가 600mm x 1200mm이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25mm 직경의 철근이 6개씩 배근되고, 스터럽은 10mm 철근이 150mm 간격으로 배치됩니다.

3. 철근 상세도 예시

철근 상세도는 전이보 내부의 철근 배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입니다. 이를 통해 철근의 위치, 간격, 정착 방식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에서 전이보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주근과 스터럽의 위치 및 간격이 상세히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상세도를 통해 시공자는 정확한 철근 배근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위 자료들은 전이보의 시공 및 감리 시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전이보(Transfer Girder, TG보)**는 건축 구조에서 상부의 하중을 하부로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입니다. 주로 상부 구조와 하부 구조의 기둥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때 하중을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주요 용도:
• 건물 하부에 기둥 배치가 제한되는 공간(주차장, 로비 등)이 있을 때.
• 상부 기둥 하중을 넓게 분산시키기 위해.
• 구조적 안정성과 디자인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초보 건축기사가 알아야 할 실무 시공 팁:


1. 설계도 확인
• 전이보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히 이해하고, 설계도서의 하중 계산 및 철근 배근을 꼼꼼히 검토합니다.
• 설계 변경 사항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2. 거푸집 시공
• 전이보는 크기가 크고 하중이 커서 거푸집이 흔들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 지지대(동바리)와 거푸집 고정이 충분히 안정적인지 확인합니다.

3. 철근 배근
• 전이보는 큰 하중을 받으므로 철근의 배근이 설계 기준에 정확히 맞아야 합니다.
• 이음 길이, 피복 두께, 띠철근 간격 등을 꼼꼼히 점검합니다.
• 스페이서(간격재)로 철근 간격을 유지하고, 처짐을 방지합니다.

4. 콘크리트 타설
• 콘크리트의 강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강도와 배합 비율을 정확히 맞춥니다.
• 진동기를 사용해 충분히 다짐하여 내부 공극(빈 공간)을 제거합니다.
• 타설 후 양생을 충분히 해야 강도 발현이 가능합니다.

5. 전단 보강
• 전이보는 전단력이 클 수 있으므로 스터럽(전단 보강 철근)이 설계에 맞게 배근되었는지 확인합니다.



감리 검측 시 유의사항:


1. 배근 상태 확인
• 설계도에 따라 철근 간격, 이음 길이, 정착 길이 등을 세부적으로 검측합니다.
• 특히 전이보 하단의 주요 철근 배치와 상단의 부력 철근 배치가 정확한지 확인합니다.

2. 거푸집 및 동바리 점검
• 거푸집의 처짐이나 흔들림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동바리 지지 상태가 전이보의 중량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지 체크합니다.

3. 콘크리트 품질 검사
• 슬럼프 테스트로 작업성 확인합니다.
•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후 강도를 확인합니다.

4. 시공 오차 관리
• 전이보의 폭, 높이, 위치가 설계값과 일치하는지 체크합니다.
• 철근 피복 두께 및 간격 오차를 측정합니다.

5. 안전 관리
• 전이보는 큰 하중을 지탱하므로 타설 중 붕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점검이 필수입니다.
• 작업자 간 협업과 소통 상태를 확인합니다.


위 자료들은 전이보의 시공 및 감리 시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